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BC가 한글날 특집으로 다큐멘터리 ‘겨레말모이’ 두 편을 준비했다. 남과 북, 그리고 해외동포가 사용하는 우리말을 집대성하는 ‘겨레말큰사전’의 제작과정을 담은 두 편의 다큐멘터리는 1989년 문익환 목사의 방북을 계기로 시작된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의 발자취를 담았다. 표준어, 문화어, 탈북민의 겨레말과 중국 연변, 우즈베키스탄 등에서 해외동포가 사용하는 우리말의 실상을 들여다보고, 이들의 서로 다른 한국어가 안고 있는 위계(位階)와 차별은 어떠할지, 통독 당시 동서독 언어의 통합과정에서 극복방안은 어떠했는지도 취재해보았다.

제1부 ‘말의 눈물’

근현대사의 격동 속에서 남과 북, 중국, 중앙아시아 등으로 흩어진 한민족과 그로 인한 우리말의 이질화 현상을 들여다본다.
적지 않은 수의 ‘탈북민’ 즉 ‘북한 이탈 주민’이 남녘 한국 땅에서 우리와 함께 살고 있다. 최근의 탈북민 중에는 청소년들도 많다. 새로운 삶의 기회를 찾아 쉽지 않은 선택을 했지만 이들의 한국 생활은 녹록하지 않다. 대표적인 것이 언어생활이다. 출생 이래 북한말을 배우고 익힌 그들 앞에 남한의 언어체계는 하나의 장벽이 되고 있다.
남과 북의 또래들은 서로의 말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MBC 한글날 특집 ‘겨레말모이’의 제1부 ‘말의 눈물’ 편에서는 남북 청소년들이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우리말 퀴즈놀이를 해보았다. 먼저 입덕. ‘입덕’은 남한의 청소년들에게는 ‘연예인의 열렬한 팬이 된다’는 뜻이다. 그런데 북한에도 ‘입덕’이 있다. 뜻은 놀랍게도 “말을 조심하라. 입을 함부로 놀리면 입덕을 본다”와 같이 쓰인다고 한다.
북한이탈주민들이 정착과정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은 이북과는 다른 어휘와 외래어에 적응하는 일이다. 쉽게 고쳐지지 않는 북한 말투도 문제다. 말을 하다 보면 북한식 말투가 나오는데 곧장 쳐다보는 눈길이 달라진다고 한다. ‘빨갱이 새끼...’와 같은 험한 말을 하는 사람도 있다. 구인광고를 보고 전화를 해도 북한 출신인 것을 알면 전화가 끊어진다. 이런 사정은 중국동포나 고려인들에게도 별반 다르지 않다.
남북 정상이 만나면 통역을 두지 않고 회담을 진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과 북이 쓰는 말은 여러모로 다르다. 우리 주변에서는 만나는 탈북민, 조선족, 고려인이 쓰는 말은 큰 틀에서는 한민족의 말임에도 분명히 차이가 있고, 그들은 말 때문에 한국 생활에서 차별을 받는다고 생각한다.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하면 극복할 수 있을까.
10월 7일(월) 밤 11시 5분 방송될 MBC 한글날 특집 ‘겨레말모이’의 제1부 ‘말의 눈물’ 편에서는 남과 북, 그리고 한민족의 디아스포라로 인해 형성된 해외동포들의 우리말이 서로 소통하지 않는 현상을 취재했다.

제2부 '다시 말이 모이다'

먼저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이 우리말을 지켜온 모습을 타슈켄트 현지 취재를 통해 알아본다. 그리고 남북한과 해외동포의 말을 모으는 ‘겨레말큰사전’ 편찬 작업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살펴본다. 제작진은 독일 베를린을 찾아 통일 후 30년이 지난 독일의 사례를 통해,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고 공존하는 과정을 모색해 본다.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깔뚜막’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한 고려인들은 땅속에 굴을 파거나 깔로 흙집을 짓고 살았는데 그것을 ‘깔뚜막’이라고 불렀다. 고려인들은 타고난 근면성 하나로 버티면서 갈대밭을 개간해 벼농사를 시작했다. ‘깔뚜막’은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살아있는 역사다. 구소련 체제의 종식 이후 고려인들은 러시아어, 우즈베크어 그리고 고려말이라는 3중의 언어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제작진은 고려인 가족의 추석맞이와 성묘 나들이를 동행한다.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국에서의 유학과 취업을 위해 타슈켄트에 있는 세종학당에서 ‘한국식 한국어’를 따로 배우고 있다.

‘겨레말큰사전’의 뿌리는 ‘말모이’와 ‘조선말큰사전’
서울 중심지에서 국어학자와 9명의 학생이 만났다. 이들은 광화문 일대에서 한글의 역사를 탐방한다. 세종대왕 동상에서 시작해 조선어학회의 뿌리가 된 국어연구학회의 창립터 봉원사를 찾고, 서울 북촌에 있는 조선어학회 터를 돌아본다. 그리고 광화문 한글회관의 묵은 서랍장에서 낱말카드를 직접 찾아본다. 우리 청소년들이 찾은 단어는 주시경 선생의 염원이었던 ‘말모이’였다. 끝내지 못한 최초의 사전 ‘말모이’는 ‘조선말큰사전’으로 이어졌고, 이는 ‘겨레말큰사전’의 뿌리가 되고 있다.

독일은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인가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이 붕괴했다. 40여 년의 분단, 그리고 통일 30년. 그들의 말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동서독은 분단 시기에도 가족방문, 수학여행 등이 가능했고 TV 등 방송이 개방되어 있었다. 그럼에도 서로 다른 정치 체제로 인해 많은 영역에서 상이한 어휘가 생겨났다. 그러나 통독 이후 독일에서 표준어는 공적인 자리 또는 외국어로써 사용할 뿐, 대다수의 독일인은 자신의 지역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 독일은 한반도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인가.

30년 전에 뿌린 ‘겨레말큰사전’의 씨앗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기 8개월 전인 1989년 3월, 한반도에서는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민주화 운동과 통일 운동의 길을 걸어온 문익환 목사가 평양을 방문해 북한의 김일성주석을 만난 것이다. 그 자리에서 문목사는 남북의 말이 너무 달라지고 있으니 ‘통일국어대사전’을 남북공동으로 편찬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겨레말큰사전’의 씨앗을 뿌리고 온 것이다. 이후 2005년 금강산에서 남북공동편찬사업회가 결성되었고, 지금 까지 25차례에 걸쳐 공동편찬위원회 회의를 실시했다. 이 사전은 분단 이후 남북의 국어학자들이 함께 편찬하는 첫 사전이며, 겨레가 함께 볼 최초의 사전이다.
MBC 한글날 특집 2부작 다큐멘터리 [겨레말모이]의 제2부 ‘다시 말이 모이다’는 10월 14일 (월) 밤 10시 55분에 방송된다.